요즘은 인터넷 시대라고들 흔히 말합니다. 모든것이 인터넷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일들이 많은 까닭입니다. 필요한 정보의 습득이나 학습은 물론이거니와 쇼핑, 회의, 동회회 활동등 인터넷 세상에서 많은 것들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대부분의 활동은 우리가 이동중에 휴대용 인터넷 보다는 주로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등의 PC 기반에서 많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이러다 보니 약간의 한계점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동중에 인터넷이 되면 좀더 일을 처리 할 수 있거나,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바로 검색을 해본다거나, 그때 그때 필요한 정보를 바로 바로 볼 수 있다거나 했으면 하는 바램을 많이 하게 됩니다. 그래서 앞으로 점점더 모바일과 인터넷은 떨어질 수 없는 관계가 될거라 생각이 듭니다. 앞으로 좀 더 편리하고 빠른 휴대용 인터넷 단말기가 나오지 않을까 생각도 해봅니다.
하지만, 이런 부분은 앞으로의 기대라고 볼 수 있고, 현재 시점에서도 이런 생각도 많이 들었고, 아쉬운 적이 많이 있었습니다.
필요한 정보를 바로 검색을 해보고 싶은데, 그렇다고 이동중에 PC 방에 갈 수도 없는 문제구요. 물론 시내에서는 노트북과 와이브로가 있으면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서울이 아닌 다른 곳에서 그런 궁금증이나 필요성을 느낄때가 많이 있습니다.
예컨데 저의 경우 여행을 가려고 할때 가는 지역의 날씨가 문득 궁금해지거나 또는 내가 가려는 도로가 현재 어떤 상태인지, 어디가 현재 교통 체증이 심한지도 알게 되면 여행길은 조금은 수월하지 않을까 생각을 해보곤 합니다.
저는 요즘 이런 궁금증에 대한 해결책을 이 작은 휴대폰에서 찾고 있습니다.
검색이 필요한 부분은 이렇게 검색을 해보면 쉽게 궁금증을 풀수가 있더군요.
최근에 알게된 사실인데, 아래 사진의 구글 아이콘을 눌러 보니 아래와 같이 여러개의 검색엔진을 선택을 할 수 있는 기능이 내재되어 있었습니다. 이 기능은 매우 편리하더군요.
저는 구글과 LG 사이에 어떤 특별한 계약관계등으로 인해서 검색엔진은 구글로 설정이 되어 있는 것이라고 생각을 했는데, 구글 아이콘을 눌러보니 아래와 같이 여러개의 검색엔진이 보이더군요. 이로 인해서 구글과 LG 와의 약간의 오해는 풀렸습니다..^^
버튼을 눌러보면 아래와 같이 여러개의 검색 엔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으로 인해서 사이트를 접속해서 검색 키워드를 입력할 필요가 없어지더군요. ^^
아래는 제가 자주 이용하는 오즈의 추천 사이트 입니다.
매우 유용한 링크들이 많이 있어서 자주 애용하고 있습니다. 만화 코너도 재미있고, 신문 사이트도 재미있습니다.
여기다가 추가적으로 날씨 정보를 보여주는 기상 정보 링크를 자주 이용하는 편입니다. 요즘은 날씨가 맑다가도 비가오고, 비다 오다가도 맑고, 도통 종 잡을 수 없는 날씨다 보니 매우 유용합니다.
그리고 아래는 교통 정보 입니다. 유가 급등으로 인해서 차를 잘 안쓰게 되기는 했지만, 그래도 차를 가지고 나오게 되는 경우, 교통 정보를 미리 체크하지 못한 경우 차가 막히는 도로로 그냥 모르고 가다간, 시간과 기름값만 버리게 되는데, 교통 정보 검색후 이동을 하니 많이 편리하더군요.
12시가 넘은 시간이라 그런지 모든 도로가 소통이 원활하네요.
아래는 제가 자주 이용하는 외곽 순환도로 정보 입니다. 제가 부천에 살다 보니 외곽 순환도로를 타야지 부천으로 들어오기가 좋습니다. 하지만 가끔 정체 구간이 생기면, 많이 막히는 곳이 바로 외곽 순환도로 입니다.
이런 정보를 토대로 이동을 하다보니 그래도 전에보다는 차가 덜 막히는 곳으로 다닐 수 있게 된 듯 합니다.
인터넷이 항상 되면 물론 인터넷에 빠져 있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겠지만, 계속 쓰지는 않더라도 필요할때 유용하게 정보를 얻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루에 몇시간씩 그리고 직장 근무 시간등에도 인터넷에 항상 접속해 있다 해도 주말이나 PC 와 함께 있는 시간 외에도 인터넷은 필요합니다. ^^
인터넷으로 인한 사회적인 문제도 심각하겠지만, 잘 이용한다면 우리에게 더 많은 편리함과 즐거움을 줄 수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하루 빨리 좀더 빠르고, 더 편리한 휴대용 인터넷 시대가 열리길 바래봅니다.
그런데, 이런 대부분의 활동은 우리가 이동중에 휴대용 인터넷 보다는 주로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등의 PC 기반에서 많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이러다 보니 약간의 한계점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동중에 인터넷이 되면 좀더 일을 처리 할 수 있거나, 궁금한 사항이 있으면 바로 검색을 해본다거나, 그때 그때 필요한 정보를 바로 바로 볼 수 있다거나 했으면 하는 바램을 많이 하게 됩니다. 그래서 앞으로 점점더 모바일과 인터넷은 떨어질 수 없는 관계가 될거라 생각이 듭니다. 앞으로 좀 더 편리하고 빠른 휴대용 인터넷 단말기가 나오지 않을까 생각도 해봅니다.
하지만, 이런 부분은 앞으로의 기대라고 볼 수 있고, 현재 시점에서도 이런 생각도 많이 들었고, 아쉬운 적이 많이 있었습니다.
필요한 정보를 바로 검색을 해보고 싶은데, 그렇다고 이동중에 PC 방에 갈 수도 없는 문제구요. 물론 시내에서는 노트북과 와이브로가 있으면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서울이 아닌 다른 곳에서 그런 궁금증이나 필요성을 느낄때가 많이 있습니다.
예컨데 저의 경우 여행을 가려고 할때 가는 지역의 날씨가 문득 궁금해지거나 또는 내가 가려는 도로가 현재 어떤 상태인지, 어디가 현재 교통 체증이 심한지도 알게 되면 여행길은 조금은 수월하지 않을까 생각을 해보곤 합니다.
저는 요즘 이런 궁금증에 대한 해결책을 이 작은 휴대폰에서 찾고 있습니다.
검색이 필요한 부분은 이렇게 검색을 해보면 쉽게 궁금증을 풀수가 있더군요.
최근에 알게된 사실인데, 아래 사진의 구글 아이콘을 눌러 보니 아래와 같이 여러개의 검색엔진을 선택을 할 수 있는 기능이 내재되어 있었습니다. 이 기능은 매우 편리하더군요.
저는 구글과 LG 사이에 어떤 특별한 계약관계등으로 인해서 검색엔진은 구글로 설정이 되어 있는 것이라고 생각을 했는데, 구글 아이콘을 눌러보니 아래와 같이 여러개의 검색엔진이 보이더군요. 이로 인해서 구글과 LG 와의 약간의 오해는 풀렸습니다..^^
아래는 제가 자주 이용하는 오즈의 추천 사이트 입니다.
매우 유용한 링크들이 많이 있어서 자주 애용하고 있습니다. 만화 코너도 재미있고, 신문 사이트도 재미있습니다.
여기다가 추가적으로 날씨 정보를 보여주는 기상 정보 링크를 자주 이용하는 편입니다. 요즘은 날씨가 맑다가도 비가오고, 비다 오다가도 맑고, 도통 종 잡을 수 없는 날씨다 보니 매우 유용합니다.
그리고 아래는 교통 정보 입니다. 유가 급등으로 인해서 차를 잘 안쓰게 되기는 했지만, 그래도 차를 가지고 나오게 되는 경우, 교통 정보를 미리 체크하지 못한 경우 차가 막히는 도로로 그냥 모르고 가다간, 시간과 기름값만 버리게 되는데, 교통 정보 검색후 이동을 하니 많이 편리하더군요.
12시가 넘은 시간이라 그런지 모든 도로가 소통이 원활하네요.
아래는 제가 자주 이용하는 외곽 순환도로 정보 입니다. 제가 부천에 살다 보니 외곽 순환도로를 타야지 부천으로 들어오기가 좋습니다. 하지만 가끔 정체 구간이 생기면, 많이 막히는 곳이 바로 외곽 순환도로 입니다.
이런 정보를 토대로 이동을 하다보니 그래도 전에보다는 차가 덜 막히는 곳으로 다닐 수 있게 된 듯 합니다.
인터넷이 항상 되면 물론 인터넷에 빠져 있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겠지만, 계속 쓰지는 않더라도 필요할때 유용하게 정보를 얻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루에 몇시간씩 그리고 직장 근무 시간등에도 인터넷에 항상 접속해 있다 해도 주말이나 PC 와 함께 있는 시간 외에도 인터넷은 필요합니다. ^^
인터넷으로 인한 사회적인 문제도 심각하겠지만, 잘 이용한다면 우리에게 더 많은 편리함과 즐거움을 줄 수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하루 빨리 좀더 빠르고, 더 편리한 휴대용 인터넷 시대가 열리길 바래봅니다.
'새로운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폰 과 오즈폰.. (3) | 2008.07.15 |
---|---|
오즈폰의 비행기 모드.. (1) | 2008.07.06 |
Umile 을 이용한 K3G 동영상을 AVI 로 변환하기 (9) | 2008.06.23 |
World IT Show 2008 에 다녀왔습니다. (4) | 2008.06.21 |
World IT Show 2008 에 다녀왔습니다. (5) | 2008.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