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 벤와(40)가 25일 미국 조지아주 아틀란타시에 있는 자택에서 아내와 아들과 함께 사망한 채로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크리스벤와는 지난 19일 엘리자버크와의 경기에 승리하면서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해, 바비 래쉴리가 이적함으로써 공석이 생긴 챔피언 타이틀에 도전할 예정이었다고 합니다.
크리스 벤와는 1957년 캐나다 몬트리올 출신 레슬러로써 세계 헤비급 챔피언까지 지낸 WWE 간판급 레슬러였으며, 레슬러들 가운데 가장 좋은 기술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경기 스타일이 사나운 오소리(rabid wolverine)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과격한 선수이기도 합니다.
출생 : 1967년 5월 21일
사망 : 2007년 6월 25일
신체 : 키181cm, 체중100kg
직업 : 프로레슬링선수
데뷔 : 1985년 프로레슬러 데뷔
수상 : WWE US 챔피언
WWE 헤비급 챔피언
사실 우리나라에서는 프로레슬링의 열기가 많이 식었습니다. 80년대만 해도 대단했었는데요. 하지난 미국이나 캐나다쪽은 아직도 인기가 많습니다. 상당 부분 액션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많은 팬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도 캐나다에 머무는 동안에 프로레슬링을 자주 보곤 했습니다.
크리스 밴와의 가족에 대한 애도의 뜻을 전합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이밖에도 비운의 레슬러들이 많이 있더군요. 크리스 벤와 사망과 관련하여 관련기사가 있어서 스크랩했습니다.
원본에는 사진은 없었으나 사진을 매칭하였습니다.
관련 블로그(이미지 수록)
http://blog.naver.com/plaer30?Redirect=Log&logNo=110016049691
위의 블로그에는 상당히 많은 선수들의 사진이 올라와 있습니다. 참고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관련기사
http://isplus.joins.com/sports/worldspo/200706/26/200706261153083406010600000106010001060101.html
몸이 재산인 프로레슬러들. 상대의 기술을 온 몸으로 받아내야 하는 만큼 고통도 크고 그에 따른 진통제의 유혹도 뿌리치기 힘들다. 실제 레슬러들의 사망원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게 바로 진통제 남용이다. 이외에도 대부분 불의의 사고로 갑작스럽게 팬들의 곁을 떠나 많은 충격을 주었던 프로레슬러들을 모아보았다.
앙드레 더 자이언트 (1993년 사망)
이미 자신이 거인병에 걸렸음을 알고 있었던 앙드레는 굉장히 낙천적인 성격으로 인생을 즐기며 살았다고 전해진다. 그리고 결국 1993년 1월 29일에 거인병으로 눈을 감게 된다.
오웬 하트 (1999년 사망)
그는 1999년 PPV '오버 더 에지'에서 갓파더와의 WWE 인터콘티넨탈 챔피언십 매치 전 공중에서 멋지게 등장하기로 되어 있었다.
하지만 케이블이 끊어지면서 50피트 공중에서 그대로 링 턴버클에 머리를 부딪히는 큰 사고를 당한다. 이후 병원으로 급후송 되었지만 부상이 악화되어 결국 34세의 나이로 사망한다.
레비싱 릭루드 (1999년 사망)
그는 1989년 레슬매니아5에서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에 오르며 최고의 전성기를 누렸다. 이후 부상으로 레슬러의 길을 포기하고 레슬러의 보디가드, 매니저 캐릭터로 제2의 프로레슬링 인생을 보냈다. 1999년 다시 한번 프로레슬러로 변신하기 위해 훈련하던 중 진통제 과다복용으로 인한 심장마비로 자신의 저택에서 발견되었다. 그의 나이 40세였다.
요코주나 (2000년 사망)
브리티시 불독 (2002년 사망)
'미스터 퍼팩트' 커트 해닝 (2003년 사망)
완벽한 사나이라는 캐릭터와 동시에 다소 거만한 모습으로 팬들의 관심을 받았던 미스터 퍼펙트. 잘생긴 외모 만큼이나 화려한 기술과 카리스마로 악역을 훌륭하게 소화했다. 그 역시 2003년에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빅보스맨’ 레이 트레일러 (2004년 사망)
2000년대 다시 프로레슬링 무대로 복귀한 빅보스맨은 SWAT풍으로 업그레이드된 경찰 복장을 선보이며 예전의 카리스마를 다시 선보이기도 했다. 이후 WWE산하 단체인 OVW에서 선수를 양성하던 중 자신의 집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한 체 발견되며 유명을 달리 했다.
에디 게레로 (2005년 사망)
팬들을 당시 에디가 쇼에서 보여줬던 것처럼 지금도 우리를 속이고 있는 것이라며 그의 죽음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했다.
그의 사인은 급성 심장마비로 밝혀졌다. 1999년 교통사고 이후 진통제 남용과 재활 후 알콜 중독. 그리고 젊은 시절 마약에 손을 댔던 전례까지 그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는 너무도 많았다. 부검시 검사관은 에디의 혈관이 너무 낡고 얇아져 있었다고 진술했다. 하지만 그 순간까지도 에디는 팬들을 위해 쉬지 않고 레슬링을 했던 것이다.
"어스퀘이크" 존 텐타 (2006년 사망)
2004년부터 방광암 선고를 받았던 그는 1년 시한부 판정을 받은 상태에서 좌측 폐에 종양이 더 발견되는 등 많은 병마에 시달리다 결국 쓸쓸히 사망했다.
http://isplus.joins.com/sports/worldspo/200706/26/200706261153083406010600000106010001060101.html
'BLOG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랜스포머를 보다"가 달리고 있습니다. (10) | 2007.07.02 |
---|---|
크리스 벤와의 추모 동영상 (10) | 2007.06.26 |
검색과 페이지 코드 수정을 이용한 애드센스 수익 증가에 대한 방안 (8) | 2007.06.25 |
블로그 간판 만들기 (4) | 2007.06.23 |
애플의 사파리를 경험하다. (6) | 2007.06.15 |
댓글을 달아 주세요